미국 정부, 랜섬웨어 수익으로 압수한 비트코인 20.2개 몰수 소송 제기

미국 정부가 랜섬웨어 활동과 관련하여 약 20.2개의 비트코인(BTC)을 압류하고, 해당 자산의 가치인 약 240만 달러를 몰수하기 위한 민사 소송을 텍사스 북부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미국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구축 계획의 일환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압수된 비트코인은 '카오스(Chaos)'라는 랜섬웨어 조직과 관련된 지갑 주소에서 확보된 것으로, 이들 비트코인은 불법적인 사이버 범죄 수익으로 분류되고 있다. 텍사스 연방 검찰은 이 비트코인이 다양한 사이버 범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들이 범죄로부터 발생한 자금임을 입증할 물적 증거를 갖추고 있다.
이번 비트코인 압수는 지난 4월 15일, 댈러스 지역에 있는 FBI의 주도 하에 진행된 수사 결과 이뤄졌으며, 수사당국은 이 암호화폐가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해 발생한 범죄 수익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압수된 디지털 자산이 향후 미국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에 포함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월 6일, 범죄나 민사 몰수를 통해 획득한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비트코인 국가 비축 자산을 설계하고 운영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디지털 자산을 단순한 기술 혁신의 차원을 넘어, 국가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사례로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조치는 미국 정부가 암호화폐를 국가 안보와 통화 전략의 중요한 요소로 재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유의미한 비축 방안이 향후 미국의 디지털 자산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결국, 미국 정부의 이번 비트코인 압수 및 몰수 조치는 사이버 범죄에 대한 단호한 대응을 비롯해, 국가의 디지털 자산 전략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암호화폐 시장 및 정책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많은 이들이 향후 미국의 디지털 자산 정책을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