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PI), 약세장 속 재조명…“6,500만 유저 기반과 실물 결제 확장을 주목해야”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파이코인(PI), 약세장 속 재조명…“6,500만 유저 기반과 실물 결제 확장을 주목해야”

코인개미 0 2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파이코인(PI)이 최근 약세장 속에서 다시금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파이코인은 약 0.43달러(약 598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 한 달간 17% 하락한 수치로, 6월 이후 0.39~0.67달러(약 542~933원) 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젝트의 강력한 펀더멘털이 여전히 주목받고 있다.

최근 파이코인은 1,080만 개의 PI 토큰이 시장에 유통되면서 공급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생태계는 활성화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인 김황(Kim Wong)은 "Pi 네트워크가 실패한 프로젝트라는 주장은 동의할 수 없다"며, 이 프로젝트의 성과를 강조했다. 현재 Pi 네트워크는 200개국 이상에서 6,500만 명의 사용자와 1,800만 명 이상의 KYC 인증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300만 명 이상이 직접 지갑으로 토큰을 이동한 결과는 업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이는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진 성과로, 더욱 의의가 있다.

또한, Pi 네트워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에서 434만 명의 팔로워를 기록하여, 바이낸스(1,470만), 비트코인(780만)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코인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Pi 네트워크의 영향력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기술 기반 역시 강력하다. 현재 테스트넷1, 테스트넷2, 메인넷을 포함한 운영 중인 노드 수는 40만 개에 달해, 사용자 기반의 분산형 생태계가 실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요소들은 Pi 네트워크가 기존의 PoW 중심 네트워크 구조를 넘어선 혁신적인 접근이라고 평가받게 한다.

생태계 내 실제 활용 사례와 혁신도 늘어가고 있다. 최근 Pi 네트워크는 1억 달러(약 1,390억 원) 규모의 ‘Pi 벤처스 펀드’를 조성하여, 파이코인을 기반으로 하는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AI 기반 서비스를 위한 ‘Pi 앱 스튜디오’, 커뮤니티 기반 게임인 ‘FruityPi’, 그리고 주목받고 있는 NFT 서비스인 ‘Pi 도메인’ 등도 출시되며,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파이코인의 실물 결제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 아프리카 및 중남미를 중심으로 2만 7,000여 개의 가맹점에서 Pi 결제가 가능해져, 암호화폐 실 사용 확대의 필수적인 단계로 평가받고 있다. 게다가 Pi 지갑에 인상적인 ‘Pi 구매(Buy Pi)’ 탭이 추가되어 이제 일반 법정화폐로도 Pi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경로가 열렸다. 이는 향후 거래소 상장 이전 단계에서 유동성 확보와 접근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조치로 여겨진다.

가격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크지만, 강력한 사용자 기반, 광범위한 인프라, 그리고 실 사용 확대 경향은 Pi 네트워크가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주요 거래소 상장 일정과 거버넌스 체계의 발전 여부가 파이코인이 다시 1달러를 돌파할 수 있는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