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고래 지갑 집중률 62% 기록... 중앙집중 암호화폐로 주목받아

최근 시바이누(SHIB)가 탈중앙화 원칙과는 반대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명한 밈코인인 시바이누가 이더리움(ETH), 페페(PEPE)와 같은 주요 암호화폐를 제치고 가장 높은 중앙 집중화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 내에서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시바이누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인 샌티먼트(Santiment)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시바이누의 상위 10개 지갑이 전체 유통량의 62%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의 51.8%, 이더리움의 49%, 페페의 39%보다도 높은 수치로, 사실상 상당수의 자산이 소수의 고래 지갑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이런 고래들의 집중적인 보유는 가격의 급변동이나 매도를 유도하는 위험 요소가 크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샌티먼트는 “소매 투자자 관점에서는 특정 소수 지갑이 대규모 물량을 보유한 자산보다 분산된 자산을 보유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며 "대형 고래가 포지션을 정리하면 가격 급락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경고는 시바이누의 투자자들에게 귀중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가격 흐름에서도 시바이누는 최근 24시간 기준 약 3% 하락하며 0.00001159달러(약 0.016원)로 거래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의 시가총액은 약 70억 달러(약 9조 7,300억 원) 수준으로, 전체 암호화폐 중 24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고래들이 유통 물량의 과반을 장악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특정 상황에서 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긍정적인 신호도 감지되고 있다. 시바이누 커뮤니티는 최근 1,340만 개 이상의 토큰을 소각하며, 하루 전 대비 약 4,000% 증가한 소각 속도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신속한 소각률은 공급량 감소를 촉진하고, 장기적인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중앙화 거래소 내 보유 물량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난 한 달 간 많은 투자자들이 거래소에서 자산을 출금하고 자체 지갑으로 전송하면서 매도 압력이 줄어든 상황이다. 이는 시장 내에서 셀링 프레셔가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긍정적인 시장 심리를 유도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시바이누는 공급 집중도 측면에서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양날의 검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토큰 소각과 거래소 유출 같은 수급 호재가 있는 반면, 지나친 고래 집중도가 언제든지 시장 불안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 속에서 시바이누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