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의 정체, 스테이블코인이 해결책이 될까?

현재 한국의 자산 시장은 유동성이 과도하게 흘러넘치고 있지만, 그것이 어디로 흘러갈지를 알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한국은행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24년 기준으로 광의통화(M2)의 증가율은 전년 대비 약 6%에 그쳤다. 이는 자산시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기 위해 필요한 M2 증가율 기준선인 연 7~8%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로, 현재 유동성 상태는 '팽창'이 아니라 '정체' 국면으로 바라봐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정체된 유동성의 방향성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미 부동산, 주식, 비트코인, 다양한 암호화폐와 같은 주요 자산시장에는 압도적인 자금이 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마치 공처럼 뜬 유동성이 더 이상 유입될 수 없는 컵 속을 맴도는 도식적 비유처럼 보인다. 그러나 한쪽에 조용히 놓인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컵은 여전히 비어 있어, 이는 국내 스테이블코인 인프라가 아직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미국은 이러한 현상을 역으로 보여주고 있다. USDC와 USDT와 같은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은 발행사가 보유한 달러 예치금을 바탕으로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수익은 탄탄한 토큰 유통을 지원한다. 블랙록과 같이 세계적인 기관투자자들 또한 이 구조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은 이제 단순한 디지털 결제 수단을 넘어서 국가 금융 시스템의 뒷받침 역할을 하는 핵심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공급량이 2,100만 개로 고정되어 있어 희소성이 뛰어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희소성은 코드로 설계되어 있고, 채굴 및 유통, 보유량이 모두 온체인에서 실시간으로 검증될 수 있어 비트코인은 점점 더 '통화'이기보다는 담보자산, 즉 디지털 금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 통화의 역할을 누가 대신할 것인가? 그 해답은 바로 스테이블코인에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실물 자산과 1:1로 연결된 투명한 디지털 통화로서, 그 이동이 온체인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국경을 초월하여 더 많은 금융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이제 한국은 이러한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자금은 항상 가장 빠르고 유연한 경로를 선택한다. 지금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준비가 없다면, 조만간 한국은 그 자금을 잃어버릴 위험이 높다. 유동성이 넘쳐나는 현 상황 속에서 과연 스테이블코인이 이런 정체된 유동성의 해답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