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7월 반등 가능성…기관 투자와 고래 매집 등 긍정적 신호 등장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이더리움(ETH), 7월 반등 가능성…기관 투자와 고래 매집 등 긍정적 신호 등장

코인개미 0 7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이더리움(ETH)는 6월 한 달 동안 2% 하락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다가오는 7월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여러 지표가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인(BTC)에 비해 시장 규모가 작은 이더리움은 시장의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으로 인해 하락폭이 커졌지만, 상승세에서는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6월의 암호화폐 시장은 미국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이었다. S&P500 지수는 같은 기간 4.25% 상승하며 미국 증시의 강세를 보여줬지만, 이더리움은 24% 조정 이후에도 월간 수익률이 여전히 마이너스에 머물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이더리움의 상승 잠재력은 여전히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난 4월부터 6월 초까지 비트코인이 약 46% 상승한 반면, 이더리움은 무려 100% 급등하며 1,400달러에서 2,800달러(약 389만 원) 수준까지 상승했다. 특히 시장 예측 기관들은 비트코인이 2025년 상반기까지 15만~20만 달러(약 2억 850만 원~2억 7,800만 원)까지 오를 가능성을 보고 있어, 이더리움 역시 이에 따라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하는 네 가지 주요 요인이 있다. 첫째, 레이어2 수수료 전쟁이다. 지난해 3월 도입된 '덴쿤(Dencun)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의 수수료가 급격히 낮아졌고, 이로 인해 폴리곤(POL), 옵티미즘(OP), 아비트럼(ARB) 등의 L2 코인들이 성장을 이어가면서 이더리움 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다. 비록 전통적인 체인에서의 수수료 수익이 줄어들었지만, 전체적인 이용 수요는 줄어들지 않았다는 분석이 있다.

둘째, 기관 투자 확대의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샤프링크 게이밍은 지난달 약 3,000만 달러(약 417억 원)의 이더리움을 매수하며 기업 전략에 이더리움을 적극 포함시켰다. 이는 비트코인을 사들이기 시작한 스트래티지 사의 전략과 유사하며, 관련 주가가 폭등한 사례도 존재한다. 샤프링크의 이러한 결정은 향후 이더리움 중심의 기관 투자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고래 투자자의 활동도 주목할 만하다. 6월 22일, 한 고래 주소에서 약 3,900만 달러(약 541억 원) 상당의 ETH가 매집되었는데, 이는 시장에 강한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거래소 외부로 이더리움이 이동하면 유통량이 줄어들어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비트 디지털(Bit Digital)이라는 뉴욕 상장사가 보유한 비트코인을 매도하고 3,400만 달러(약 473억 원) 상당의 ETH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한 것도 주목할 점이다. 이 기업은 이더리움 스테이킹 전략과 L2 생태계 확장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고 있으며, 시장 흐름에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신호, 기관의 지원, 생태계 성장, 투자 지표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이더리움의 7월 회복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주도하는 상승장 속에서 이더리움이 본격적인 반등 신호를 보일지 주목되는 시점이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