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후드, 전통 금융의 경계를 허물며 온체인 금융으로의 전환 시동

로빈후드(Robinhood)가 전통 증권거래소와 암호화폐 시장을 혼합한 혁신적인 전략을 공개했다. 이 회사는 6월 3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이더리움 커뮤니티 컨퍼런스(ETHCC)에서 토큰화 자산, 파생상품, 그리고 자체 블록체인인 '로빈후드 체인(Robinhood Chain)' 개발 계획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Web3 전환을 선언했다.
이로 인해 로빈후드는 비트스탬프(Bitstamp) 인수 이후 유럽과 미국을 아우르는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의 발돋움이 가속화될 예정이다. 특히, 로빈후드는 유럽 연합(EU) 및 유럽 경제 지역(EEA) 31개국의 사용자들에게 미국 주식과 ETF 200종 이상을 토큰화하여 제공하기 시작했다. 인기 있는 자산인 애플, 엔비디아, S&P500 ETF 등이 포함되며, 24시간 5일 거래, 0% 수수료(환전 수수료는 0.10%)와 배당금 자동 지급까지 제공해 기존 증권사보다 더 매력적인 조건을 내세웠다.
현재 토큰화된 자산은 아비트럼 원(Arbitrum One)에서 발행되고 있으며, 향후 로빈후드 체인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7월 7일부터는 비상장 기업인 오픈AI와 스페이스X의 파생상품 거래도 시작된다. 이를 위해 로빈후드는 오픈AI에 100만 유로, 스페이스X에 50만 유로 규모의 에어드랍 풀을 구성하고, 선착순 가입자에게 5유로 상당의 토큰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공격적인 사용자 유치를 노리고 있다.
미국 시장을 겨냥한 스테이킹 서비스와 다양한 기능도 도입된다. 이더리움과 솔라나 기반 스테이킹 서비스가 출시되었으며, 하반기부터는 고급 차트 도구, 스마트 오더 라우팅(SOR), API 거래 기능, 세금 로트 선택 기능 등 전문 트레이더를 위한 서비스가 대거 도입될 예정이다. 아울러, 5월 말부터 시작된 2% 암호화폐 입금 보너스는 7월 7일까지 누적 입금액이 5억 달러 이상에 도달할 경우 소급 적용된다.
로빈후드 체인은 아비트럼 오르빗(Arbitrum Orbi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체 L2 블록체인으로, 실물 자산(RWA)을 온체인에서 자유롭게 유통하고, 담보대출, 탈중앙화 보관, 24시간 거래 등 DeFi 기능을 결합할 계획이다. 이 체인에서 기본 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예정인 USDG 스테이블코인은 MiCA 규제를 준수하며 GDN(Global Dollar Network)에서 발행된다. 하지만 로빈후드는 향후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로빈후드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존 증권 거래소들과의 경쟁을 본격화할 조짐을 보인다. 기존 토큰화 자산 프로젝트들이 자산의 공급 측면에 초점을 맞춘 반면, 로빈후드는 이미 2,600만 명의 사용자와 2,550억 달러의 자산을 보관 중인 만큼, 온체인으로 옮겨지는 주식과 파생상품은 강력한 유동성을 자랑할 것이다. 이는 로빈후드가 기존 글로벌 브로커리지와 직접 경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특히, 토큰화 주식과 파생상품의 출현은 알트코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식 기반 파생상품은 명확한 가치 평가와 실적 기반 분석이 가능해 투자자들에게 더 매력적인 투자 상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알트코인 시장의 투자 프리미엄은 조금씩 희석되고 있으며, 펀더멘털과 내러티브가 확실한 프로젝트만이 살아남는 경쟁을 강요받고 있다.
결국 로빈후드는 기존 증권 거래소들과 암호화폐 시장을 아우르는 총체적 금융 플랫폼으로 자리잡으며, 전통 금융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