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 텔레그램 기반의 이더리움 디파이 혁신 위한 퍼블릭 메인넷 출시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 TAC가 최근 퍼블릭 메인넷과 $TAC 토큰을 정식 출시했다. TAC는 TON 블록체인 위에 구축된 EVM(이더리움 가상 머신) 호환 레이어로, 사용자가 텔레그램 내에서 이더리움 디앱을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해결책이다. TAC의 창립자 파벨 알투호프는 "우리는 단순히 하나의 디앱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다. 텔레그램이라는 슈퍼앱 안에서 누구나 쉽게 이더리움 기반의 디파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벨은 2018년 텔레그램의 ICO를 통해 블록체인 업계에 발을 담갔으며, 그 때부터 투자자이자 창업가로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대부분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기존의 기술 위에 커뮤니티를 덧씌우는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텔레그램은 이미 형성된 대규모 커뮤니티 위에 블록체인을 구현하는 혁신적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पाबेल의 TAC 프로젝트는 기존 디파이 사용자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연결고리를 매우 혁신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TAC를 통해 사용자들은 최소한의 코드 수정을 통해 기존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을 TON 블록체인에 결합할 수 있는 프록시 스마트 계약 구조가 도입되었다. 현재 Curve, Morpho, Euler 등의 주요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이 TAC 메인넷에 배포되거나 배포 준비 중에 있으며, 약 7억 5000만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 기반 자산이 TAC 메인넷으로 이전될 준비가 되고 있다.
또한, 파벨은 한국 시장을 아시아 전략의 핵심으로 보고 있으며, "한국은 암호화폐에 대한 잘 갖춰진 이해도, 규제 환경, 그리고 품질 중심의 커뮤니티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텔레그램과 TON 생태계에 대한 인식이 아직 낮지만, 이러한 점이 오히려 기회가 된다"며 향후 한국블록체인위크(KBW) 기간 중 오프라인 밋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TAC는 레이어2가 아닌 TON의 네이티브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모든 사용자는 별도의 지갑을 설치할 필요 없이 텔레그램 계정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파벨은 "우리는 이더리움 유저가 아닌 수억 명의 텔레그램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구조를 설계하고 있다"며 사용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TAC의 방향성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파벨은 "현재 웹3의 가장 큰 문제는 사용자 경험(UX)이다. 디파이는 필수적이지만, 접근성의 혁신이 요구된다"며 블록체인의 대중화는 기술적 혁신이 아닌 사용성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TAC의 퍼블릭 메인넷 출시는 이더리움 디파이 사용자 경험의 혁신을 이끌 것이며, 텔레그램 기반의 수억 명 사용자에게 탈중앙 금융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