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헤이즈, 트럼프 관세 부과 발표에 대응해 이더리움 및 알트코인 대량 매도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비트멕스 공동 창립자이자 블록체인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이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급변동 속에서 보유했던 알트코인을 대거 매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대규모 매도를 단행한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 때문이다. 이 정책은 시장에 직접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미 해군 핵잠수함이 러시아 인근으로 이동 중이라는 소식 또한 투자 심리를 악화시키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헤이즈는 최근 24시간 내 이더리움(ETH) 약 800만 달러(약 111억 2,000만 원)뿐 아니라 에테나(ENA) 460만 달러(약 63억 9,000만 원)와 밈코인 페페(PEPE) 41만 4,700달러(약 5억 7,000만 원) 상당의 자산을 매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움직임은 시장의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해석된다.
헤이즈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관세가 본격 시행되는 3분기와 시장의 반응이 맞물리면서 비트코인(BTC)은 10만 달러 저항을 시험할 것이고, 이더리움은 3,00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매도가 단기적인 조정 대응의 일환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룩온체인에 따르면, 헤이즈 외에도 한 익명의 고래가 이틀 사이에 이더리움 9,000만 달러(약 1,251억 원) 상당을 여러 거래소에 예치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이는 시장에서 보다 많은 자금이 이탈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모든 고래가 매도만 선택한 것은 아니다. 미국의 스포츠 베팅 기업 샤프링크(SharpLink)는 같은 기간 동안 이더리움 1억 850만 달러(약 150억 1,000만 원)를 매입하며 오히려 시장의 불안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샤프링크는 새로 매수한 14,933 ETH를 포함해 총 464,209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시세로 약 1조 6,157억 원에 달한다. 이는 비마인(Bitmine)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이더리움 보유량으로 기록되고 있다.
헤이즈의 행보는 개인 투자자의 매도가 아닌, 시장 심리를 반영하는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는 영향력 있는 인물인 만큼, 이러한 결정은 블록체인 업계에 큰 여파를 미친다. 오는 8월 25일 도쿄에서 열리는 WebX Asia 컨퍼런스에서 그의 추가적인 의견이 공개될 예정이어서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과 관세 부과는 암호화폐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고래 투자자들의 전략적 이탈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글로벌 정책 변화에 따라 자산 배분 전략을 신중하게 조정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