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10주년, 기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집 현상

이더리움(ETH)이 출시 10주년을 맞이하며, 기관 투자자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더리움에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들의 암호화폐 보유 규모는 1,000억 달러(약 139조 원)를 초과했으며, 특히 상위 10개 기업이 이더리움 매집에 나서면서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영국의 투자은행인 스탠다드차타드는 기업들이 6월 초부터 시장 내 이더리움의 1% 이상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앞으로 기업들이 전체 이더리움 공급량 중 10%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러한 매입은 이더리움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연말까지 ETH 가격이 4,000달러(약 5,560만 원)를 초과할 것이라는 관측과 연결되고 있다.
브릭큰(Brickken) 플랫폼의 시장 분석가 에마누엘 카르도조(Enmanuel Cardozo)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이더리움에 대한 접근성을 더 빠르고 극대화하고 있다"며 비트코인(BTC)의 초기 도입 속도에 비해 ETH 채택이 훨씬 빠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테이킹 수익을 통해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도 이더리움의 도입을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더리움의 10주년은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2013년에 백서를 첫 공개하고, 2015년에 공식 출범한 이후의 여정을 되돌아보는 기회이기도 하다. 현재 이더리움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로 자리 잡았으며, 총 예치 자산(TVL)은 850억 달러(약 118조 1,500억 원)을 초과하는 등 세계 최대의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지난 10년간 ICO 붐, 디파이 서머 및 NFT의 급등과 하락을 겪으며 암호화폐 역사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스마트 계약 및 오픈소스 생태계를 기반으로 수많은 탈중앙화 프로젝트가 구축되어 이더리움 생태계가 하나의 '암호화폐 국가'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10주년은 단순한 기념일에 그치지 않고, 기업과 기관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참여하게 되는 전환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향후 몇 년 동안 이더리움의 거버넌스 및 스테이킹 구조에서 기관 투자자들의 영향력이 얼마나 커질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는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