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산시장의 대혼란, 중앙은행 없는 암호화폐 시장의 항공모함이 필요한 시점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글로벌 자산시장의 대혼란, 중앙은행 없는 암호화폐 시장의 항공모함이 필요한 시점

코인개미 0 6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최근 금요일 오후, 글로벌 자산시장이 큰 충격에 휘말렸다. 전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중화권과의 회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하면서 "희토류 수출 통제는 용납할 수 없다"고 발언한 뒤, 불과 몇 시간 만에 100% 관세 부과 선언이 이어졌다. 이로 인해 세계 각국은 다시 '무역전쟁'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되었고, 위험자산들은 동시에 휘청거렸다.

주식시장은 5% 이상 급락했지만, 진정한 재앙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발생했다. 비트코인은 단 한 시간 동안에 13% 급락했고, 이더리움은 무려 17%의 손실을 기록했다. 일부 알트코인들은 가격이 일시적으로 0원에 도달하기도 했다. 윤곽이 뚜렷해지면서 한 번에 200억 달러 이상의 포지션이 청산되며 시장은 갑작스러운 '정전 상태'에 빠졌다.

이번 폭락 사태는 단순한 정치적 뉴스의 여파로 치부할 수 없다. 이는 금융 시스템 내 벨브의 고장이 발생한 것이며,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라는 플랫폼이 이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결국 생존해 나갔다.

사태 전 이미 경고의 시그널이 존재했다. 파생상품의 미결제약정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자금조달 금리는 극단적인 수치를 보였다. 시장 유동성은 극히 얇았고, 일방적으로 쏠린 포지션이 비대했기 때문에, 관세 뉴스가 발생하자 청산 엔진이 전방위적으로 작동하게 됐다. 거래소들은 강제로 청산을 단행했고, 시장 조성자들은 호가를 거둬들였다. 매수세가 일거에 사라진 시장에서 자동 청산 시스템은 일종의 폭탄으로 작용했다.

그 짧은 시간 안에 발생한 ‘자동 디레버리징(ADL)'은 시장의 크고 작은 청산을 막기 위한 최후의 수단이지만, 동시에 수익을 내고 있는 포지션까지 위험에 빠뜨리는 잔혹한 시스템이다. 결과적으로 ‘승자 없는 청산전쟁’이 발생하였다.

하이퍼리퀴드는 지난 2년간 부채 없이 100% 가동률을 유지해 온 디지털 자산 거래소로, 이번이 첫 번째 ‘교차 마진 ADL'이 시행된 것이다. 이 플랫폼은 모든 청산과 포지션 데이터를 온체인에 기록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자랑한다. 이는 일반적인 거래소들이 청산 규모를 축소 보고하거나 내부적으로 손실을 감추는 방식과 확연히 다르다. 특히 HLP(Hybrid Liquidity Pool)는 누구나 자금을 예치해 시장 유동성을 공급하고 청산자가 되는 체계로서 이번 급락에서 시장의 ‘최후의 매수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하이퍼리퀴드에 대한 비판이 있지만, 이는 명백히 책임 회피로 보인다. 금융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지급 능력과 가동률이다. 필수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원칙을 지켰다는 점에서 하이퍼리퀴드는 고무적으로 평가받아야 한다. 이와 반대로 기존 중앙화 거래소들은 청산 정보를 축소하거나 위험을 고객에게 전가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회피했다.

이후 플래시 크래시가 발생한 뒤, 카스파(KAS)와 폴카닷(DOT) 등의 코인은 각각 486%, 390%, 수이(SUI)는 372%의 반등을 보였지만, 이는 일시적인 저가 매수세에 의한 반사적 상승에 불과하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의 주요 자산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거래량은 정상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가격 붕괴가 아닌 시장 구조의 리스크 한계를 드러낸 것이며, 하이퍼리퀴드와 같은 투명한 메커니즘이 위기를 극복한 사례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여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