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로(XMR) 커뮤니티, Qubic의 네트워크 장악 시도로 인한 중앙화 우려 확산

개인정보 보호를 중시하는 암호화폐 모네로(XMR)가 Qubic이라는 채굴 풀의 네트워크 장악 시도로 인해 심각한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모네로 커뮤니티는 Qubic이 해시레이트를 중앙화할 가능성에 대한 강한 반발과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채굴 통계 사이트 마이닝풀스탯(MiningPoolStats)에 따르면, Qubic은 최근 모네로 채굴 풀의 순위에서 7위로 급락했다. 이는 커뮤니티가 Qubic의 네트워크 장악 의도를 포착한 데 따른 반응으로 나타났다.
이번 논란은 Qubic이 지난 6월 30일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 전략에서 비롯되었다. Qubic은 자사의 네트워크를 통해 모네로의 CPU 채굴을 장려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렇게 채굴된 XMR은 Qubic 생태계 내에서 토큰의 매입 및 소각에 활용된다고 선언했다. Qubic 측은 이를 통해 "QUBIC 채굴자들은 시장에서 실제 가치를 창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이는 QUBIC 경제를 강화한다"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Qubic의 설립자인 세르게이 이반체글로(Sergey Ivancheglo)는 최근 SNS X(구 트위터)를 통해 Qubic의 모네로 네트워크 장악 시도를 공개적으로 인정하며, 해시레이트의 대부분을 장악한 후에는 다른 채굴풀의 블록을 거부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은 모네로 커뮤니티 내의 불안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모네로는 익명성과 탈중앙화를 핵심 가치로 하는 암호화폐이다. 특정 집단에 의한 채굴 권력의 집중은 이 프로젝트의 근본적인 기초를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Qubic의 이러한 움직임은 모네로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커뮤니티의 경계심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태의 결과로서, 커뮤니티는 Qubic의 전략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향후 모네로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안정성은 대외적인 평가에 따라 큰 변화를 겪을 수 있으며, Qubic의 장기적인 영향력 또한 불확실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모네로의 기본 철학인 익명성과 탈중앙화에 어떤 실질적인 충격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