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정책이 가장 중요한 상황”...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가상자산 시장, 핵심은

좌측사이드광고
홈 > NFT & 코인 > 실시간 뉴스
실시간 뉴스

“대통령의 정책이 가장 중요한 상황”...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가상자산 시장, 핵심은

코인개미 0 37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가상자산 시장은 여전히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13일 오후 2시 2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지난 24시간 대비 1.93% 오른 8만3369.6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CPI 발표 직후 8만4358.58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이후에는 소폭 조정을 겪었다. 이더리움 역시 최근 20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가 0.15% 상승한 1875.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시장은 저조한 미국 CPI 수치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2월 헤드라인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하며, 로이터통신의 예상치 2.9%를 하회했다. 또한, 음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3.1%로, 컨센서스인 3.2%를 밑돌았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근 관세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CPI 수치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은 다소 해소된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1.22% 상승한 1만7648.45로 마감했다.

또한,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6월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확률은 하루 만에 55%에서 68.8%로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공포감이 만연해 있으며, 즉각적인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양유웨이 비마이닝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랜 기간 지속된 시장의 공포를 해소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재료 하나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인플레이션을 관리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금리 인하가 어렵지만 실업 증가와 같은 경기 둔화 신호가 동시에 출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외에도 미국 상원에서는 정부가 100만 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직접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다시 상정되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시아 루미스 미 상원의원은 지난 11일 ‘비트코인을 통한 혁신, 기술, 경쟁력 강화법(BITCOIN Act of 2025)’을 재상정하고 이 내용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이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비트코인 비축안보다 더 적극적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법안에 따르면 정부는 5년에 걸쳐 매년 20만 개씩 총 100만 개의 비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압수된 가상 자산이나 기부받은 자산 등 다양한 경로로 비트코인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가상자산 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변화가 이어지고 있지만, 현재 시장의 회복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선 더 많은 요소가 필요해 보인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