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악천후와 관광객 증가로 최악의 쌀 가뭄에 직면


일본은 최근 몇 개월 간 악천후와 관광객의 급증 등으로 인해 심각한 쌀 부족 사태에 시달리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본 정부의 엄격한 쌀 정책이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여름 내내 일본은 식탁용 쌀 부족 문제로 인해 슈퍼마켓 진열대가 비어 있는 상태이며, 지난 3년 동안 수요가 생산을 초과하면서 재고는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소비자들은 일본의 태풍 시즌과 주요 지진 경고에 대비하여 쌀을 대량으로 비축하고 있어, 공급 부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8월에는 많은 슈퍼마켓에서 백미가 자주 품절되었으며, 일부 매장은 개인당 쌀을 한 봉지로 구매하는 것이 제한되기도 했다. 8월 백미 가격은 60kg에 16,133엔(약 112.67달러)으로, 지난 달보다 3%, 연초 대비 5% 상승했다.
일본의 사적 쌀 재고는 6월에 156만 톤으로, 수년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일본 농림수산성(MAFFA)은 이러한 부족 현상을 관광객의 증가로 인한 식품 서비스 수요 증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관광객에 의한 쌀 소비량은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까지 19,000톤에서 2023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51,000톤으로 급증했다. 그러나 이는 일본의 연간 국내 쌀 소비량 700만 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일본은 올해 상반기에 1,78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여 팬데믹 이전 수준을 크게 초과하였다. 7월에는 33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여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그러나 노령화로 인해 쌀 농사 짓는 농부가 감소하고, 젊은 사람들이 이 직업에 들어오는 비율도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에 발생한 일련의 폭염과 가뭄도 수확량에 악영향을 주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일본의 쌀 정책이 이러한 공급 감소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제식량정책연구소의 조셉 글라우버 연구원은 "일본의 쌀 경제는 여전히 세계 시장과 크게 격리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자국 농민 보호를 위해 수입 쌀에 778%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세계무역기구(WTO) 의무에 따라 연간 약 682,000톤의 쌀을 수입해야 하지만, 이 쌀은 소비자에게 거의 제공되지 않고 가공이나 사료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2022년까지 일본의 쌀 수출량은 30,000톤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2014년 대비 여섯 배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쌀 가격 상승은 일본의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촉발하여 8월에는 지난해 대비 2.8% 상승하였다. 에너지 및 식료품 비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특히 쌀과 초콜릿 가격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