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0년 된 자유무역지역 활성화 위한 토지 분양 제도 도입 검토


정부가 50년 이상된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임대 방식에서 벗어나 입주 업체들에게 토지 분양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산업화와 수출 성장을 이끌었던 자유무역지역이 제 역할을 잃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정부는 이를 투자 유치를 통해 수출과 고용의 중심으로 되살리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최근 매일경제의 취재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은 마산을 시작으로 군산, 대불 등 전국 13개 자유무역지역에 대해 토지 분양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기획재정부는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담은 ‘국유재산종합계획’을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자유무역지역이 지정된 지 50년이 지나면서 공장 신·증설 등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업체들은 토지 소유권이 없기 때문에 투자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입주한 기업 중 분양을 원하는 기업에는 임대 중인 토지를 분양하여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마산은 1970년 1월 1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된 이래로 54년이 지나고 있으며, 올해 초에는 일반공업지역에서 국가산업단지로 재 지정되어 건폐율이 70%에서 80%로 증가했다. 그러나 임대 방식은 여전히 투자의 큰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어, 업체들은 지속적인 투자를 이루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마산자유무역지역을 비롯하여 전국의 13개 지역에서 새로운 투자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시장 내 경쟁력을 높이고 고용 창출을 도모하길 원하고 있다. 토지 분양이 허용되면 기업들은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이러한 조치가 시행되면, 자유무역지역은 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강력한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앞으로의 진행 상황이 주목되는 가운데, 기업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