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주식담보대출로 자금 확보 계획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이 심화되면서,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이 영풍과 MBK파트너스의 공개매수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증권사와 주식담보대출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식담보대출을 통해 추가 자금을 확보하고, 백기사 확보 등의 전략으로 대규모 자금 조달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해졌다.
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 회장측은 자금 확보를 위해 여러 국내 증권사에 주식담보대출이 가능한지 문의를 했으며, 이를 통해 충분한 자금을 모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MBK파트너스와 영풍은 오는 4일까지 고려아연 주식을 공개매수할 예정이며, 매수 범위는 7.0%에서 14.6%로 총 9537억 원에서 1조9964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이는 MBK와 영풍 측이 보유한 지분 33.13%를 고려할 때, 목표 지분 40.1%에서 47.74%까지 도달하기 위한 전략이다.
메리츠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 고려아연 측의 지분은 33.99%로 박빙의 상황에 있으며, 고려아연이 보유한 자사주(2.39%)와 국민연금 지분(7.57%)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남은 유통 물량은 약 22.92%에 이른다. 따라서, MBK와 영풍 측의 지분이 과반을 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 회장측은 최소 6.05%의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고 메리츠증권은 덧붙였다.
최 회장측은 현재 보유한 고려아연 지분 중 1.61%를 담보로 한국증권금융과 한국투자증권을 통해 약 948억 원의 주식담보대출을 활용한 상황이다. 더불어, 최 회장 측의 회사인 유미개발이 가지고 있는 0.72%의 지분을 담보로 585억 원을, 최 회장 일가 종중이 보유한 0.20% 지분으로 168억 원의 대출을 받은 바 있다. 이날 대출의 이자율은 4.92%에서 5.9%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 회장 및 그의 특수 관계자가 보유한 총 지분은 약 15.6%에 이르며, 현재 이 중 1.6%를 담보로 대출을 받은 만큼 이론적으로 추가 주식담보대출 여력은 약 14%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고려아연의 시가총액이 약 14조 원인 점을 감안하면, 이 14%의 가치만으로도 약 2조 원에 달하는 규모다.
금융회사가 주식을 담보로 자금을 대출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140%에서 150%의 담보 유지 비율이 적용되는데, 이는 제공한 담보의 가치가 대출되는 자금보다 약 1.4배에서 1.5배 이상 높아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을 고려할 때, 최 회장측이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주식담보대출 규모는 이론적으로 1조 원을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최 회장측은 더 많은 주식을 매입하거나 공개 대항매수를 통해 최소 6%의 지분(현재 시가 기준으로 약 8400억 원 가량)을 확보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주식담보대출의 진행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업계의 주요 증권사들은 내부 컴플라이언스의 이유로 경영권 분쟁 관련 주식담보대출에 대한 논의가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최 회장측은 MBK와 영풍이 계획하는 경영권 확보를 저지하기 위해 6% 지분 확보를 위해 주식담보대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금 모집 전략을 동원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는 기업의 경영권 분쟁에서 자금조달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사건으로, 향후 경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