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하이브, 중국 사무소 개설하며 K-팝 부흥 기대

홈 > NFT & 코인 > 실시간 뉴스
실시간 뉴스

한국의 하이브, 중국 사무소 개설하며 K-팝 부흥 기대

코인개미 0 119
0729358a9583a37685b3d34d6024c760_1739934309_7119.png


한국의 대표적인 K-팝 기획사 하이브가 중국에서의 첫 사무소를 개설하며 K-팝의 부활을 기대하고 있다. 하이브는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BTS(방탄소년단)의 소속사로, 지난해부터 중국 내 시장 진출을 준비해왔다. 이번 중국 사무소는 4월 2일에 개소하였으며, 하이브의 네 번째 해외 지사로 알려졌다.

하이브는 일본의 &Team과 미국의 Katseye와 같은 현지 그룹을 런칭하였으나, 중국에서는 새로운 신인 팀을 데뷔할 계획이 없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정부가 K-팝 공연에 대한 비공식 금지를 완화하는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국내 소비 침체 및 중국과의 무역 회담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지난해 11월 중국은 한국 관광객에 대한 비자 면제를 발표했으며, 한국 또한 2025년 3월에는 중국 관광객에 대한 비자 면제 계획을 밝혔다.

K-팝 업계의 최근 동향에 따르면, 하이브는 SM엔터테인먼트의 전체 지분을 중국 텐센트 뮤직에 매각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는 텐센트와 주요 K-팝 기업 간의 관계가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HSBC의 한국 인터넷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분석가 준현 김은 이러한 발전이 K-팝의 중국 내 인정도를 높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만약 K-팝이 중국에서 더 많이 알려지게 된다면, 하이브의 팬 플랫폼인 위버스와 디어 유 버블과 같은 팬-아티스트 간의 메시징 플랫폼 사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김 분석가는 설명했다.

그러나 K-팝이 중국에서 다시 부각되는 길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경고도 존재한다. K-팝 그룹 Epex는 5월 31일 예정된 푸저우 콘서트를 "지역 이슈"를 이유로 취소한 바 있다. 이는 2016년 이후 중국 본토에서 열린 한국 아이돌 그룹의 첫 공연이었으므로 큰 아쉬움을 남겼다.

하이브의 주가는 금요일 장중 1.47% 하락하였다. 동시에 다른 산업들이 세금과 관세 압박을 받는 가운데, 중국의 K-팝 비공식 금지 완화는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신한금융은 "반도체나 자동차와 달리 K-팝 소비는 보호무역 조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라고 언급하며, K-팝의 핵심 수익원인 스트리밍, 콘서트, 팬 콘텐츠가 디지털 및 무형의 상품이라는 점에서 세금 및 관세에 면역적이라고 평가했다. 앨범 및 상품 구매와 관련된 세금 노출은 미미하며, 충성도 높은 팬층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점도 강조되었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