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 미국 약가 인하 영향 적고 특허 우려도 과도…목표주가 73만원 유지


신한투자증권은 27일 알테오젠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약가 인하 정책과 관련된 우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설정하고 목표주가를 73만원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최근 알테오젠의 주가 조정 원인으로 지목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약가 인하가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주효하고 있다. 특히 피하주사(SC) 제형은 임상적 이점이 있어 약가 인하 목록에 포함될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다.
특허 소송과 관련된 키트루다SC의 미국 출시 일정 변경 우려는 미국특허청(USPTO)의 특허무효심판(PGR) 심사 개시로 인해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알테오젠의 SC 제형은 최근 부작용 감소, 유효성 및 흡수율 증가, 투약 시간 단축 등의 다양한 임상적 이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에서의 우려가 과도하다는 설명이다. SC 제형은 이미 임상 단계의 다양한 약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대형 제약회사들에게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여겨지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의 엄민용 연구원은 PGR 심사 개시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면서도, 정확한 개시 시점이 불확실하므로 이러한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PGR 절차는 할로자임의 특허 무효 가능성을 바탕으로 진행되며, 이는 키트루다SC의 10월 출시 일정에도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IRA 약가 인하가 내년 2월에 공개될 예정인 만큼 SC 제형의 포함 여부는 불확실하나, 포함되더라도 전체 매출 비중의 약 10%에 불과해 실질적인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주장도 덧붙였다. 이러한 다양한 심리적 요인과 시장의 변화 속에서 알테오젠은 반등의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
따라서 알테오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특허와 약가 인하 이슈를 면밀히 관찰하며 전략적인 투자 결정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