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테슬라와 애플 주식 크게 매수… 손실 회복의 길 모색 중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 투자자, 이른바 서학개미들이 테슬라와 애플 주식을 대거 매수하며 손실 회복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지난달 미국의 관세 언급으로 주가가 급락했던 시기에 총 25억 6659만 달러에 달하는 주식을 매수했다. 그 중에서 테슬라는 4억 1547만 달러, 애플은 2억 7286만 달러, 알파벳은 1억 3161만 달러 어치를 구매했다.
주가는 지난 7일에서 15일 사이 급락하였으나, 저가 매수를 통해 실질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테슬라는 지난달 7일 장중 214.25달러로 하락한 후, 이달 15일 342.82달러로 급등하며 6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언급 이전인 지난달 1일 종가(268.46달러)보다도 27.7% 더 높은 수치이다. 애플 역시 지난 1일 223.19달러에서 지난 8일에는 169.21달러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15일 거래 마감 시 211.45달러로 24.96%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회복은 관세 부과 이전의 주가 수준을 넘어선 것이지만, 서학개미들의 손실 회복은 연초 대비 아직 더 큰 폭의 회복이 필요하다. 현재 테슬라와 애플의 주가는 연초 대비 각각 -15.11%와 -15.56% 하락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저점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 평가하면서도, 미국의 관세 유예 기간이 90일로 제한되어 있고, 무역 분쟁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애플의 AI 플랫폼인 '애플 인텔리전스'의 진전 상황이 미흡하다며, 다음 달 신규 AI 기능 발표 전까지 보수적인 접근을 권장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역시 알파벳의 가격 대비 기업 가치 매력이 있다고 하면서도, 반독점 소송이 진행 중인 만큼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하고 있다. 학계와 투자 업계에서는 이러한 단기적 반등을 감안할 때, 추가 매수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경고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서학개미들은 테슬라와 애플의 빠른 회복을 통해 손실을 만회할 가능성을 보고 있으나, 앞으로의 투자 결정에 있어 보다 세심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글로벌 경제 및 외부 변수에 따라 주식 시장은 여전히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보다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