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테슬라와 애플 주식 매수 통해 손실 회복의 기회를 얻다

홈 > NFT & 코인 > 실시간 뉴스
실시간 뉴스

서학개미, 테슬라와 애플 주식 매수 통해 손실 회복의 기회를 얻다

코인개미 0 139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시장에서 테슬라와 애플의 주식을 대규모로 매수하며 손실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예탁결제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언급으로 주가가 급락한 이후, 서학개미들은 저가 매수에 나섰고 이로 인해 긍정적인 투자 성과를 얻었다.

지난달 7일부터 15일 사이에 서학개미는 총 25억 6659만 달러를 순매수했으며, 이 중 테슬라에만 4억 1547만 달러를 투자했다. 애플과 알파벳(구글)의 주식도 각각 2억 7286만 달러, 1억 3161만 달러가 매수됐다. 이들 주식은 지난달의 급락 이후 바닥을 찍고 반등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증대시켰다.

특히 테슬라는 지난달 7일 장중 214.25달러까지 하락한 후, 이달 15일에는 342.82달러로 60% 급등하는 놀라운 반등을 보여 주가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전인 1일 종가(268.46달러)보다도 27.7% 상승했다. 애플 역시 주가가 1일 223.19달러에서 8일 장중 169.21달러로 떨어진 후, 이후 반등에 성공하여 이달 15일에는 211.45달러로 종가를 기록하며 저가 대비 24.96% 상승했다.

이렇듯 서학개미들은 물타기를 통해 손실을 보완하고 본전을 회복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이 주식 매수에 나선 이유는 관세 문제로 인한 주가 폭락 이후의 저가 매수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연초 대비 테슬라와 애플 주가는 각각 -15.11% 및 -15.56%로 여전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불확실한 무역 환경 속에서 투자자들에겐 상당한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증권업계는 물타기 전략이 조정기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미국의 관세 유예 기간이 90일로 한정되어 있는 만큼, 레버리지 투자는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애플의 새로운 AI 플랫폼인 '애플 인텔리전스'가 기대 이하의 발전을 보이고 있어, 신규 AI 기능 발표 전까지 신중한 접근을 추천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또한 알파벳의 가격 대비 기업 가치가 매력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반독점 소송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중립적인 투자 의견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테슬라와 애플의 주식 반등은 서학개미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했으나, 여전히 변동성이 존재하는 금융 환경에서는 향후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