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의 배당 확대 압박으로 우선주 투자 급증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배당 확대를 촉구하는 분위기가 조성됨에 따라 우선주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인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배당 매력이 돋보이는 우선주들이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14일부터 현재까지 코스피 우선주 지수는 11.2% 상승하며, 같은 기간 동안 코스피 전체의 상승률인 7.18%를 훌쩍 웃도는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 두산주식회사 우선주와 두산2우B는 각각 67.55%와 111.04%라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두산의 보통주는 24.56% 상승하는 데 그치면서, 우선주의 상승폭은 2배에서 3배 이상인 상황이다.
배당성을 높이겠다고 밝힌 LG생활건강의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두 배 이상의 높은 9.23% 상승률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 역시 배당 확대를 선언하면서 우선주의 상승률이 보통주의 상승률을 초과하며 각각 10.78%와 7.34%를 기록하는 등 우선주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가 괴리율이 20%에 해당하는 현대차 우선주 3형제(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또한 15%의 상승률을 보였으며, 이는 보통주의 상승률인 10.31%를 웃도는 수치이다. 한화3우B는 20.67% 상승하며 한화 보통주(16.29%)보다 더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최근 한 달 동안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더 빠른 상승세를 보인 주식들은 대체로 40% 이상의 높은 괴리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에도 두산우와 두산2우B의 괴리율은 각각 53.9%와 59.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G생활건강우(62.9%), 한화3우B(55.3%), CJ제일제당우(44.3%) 역시 보통주와의 주가 차이가 상당한 상황이다.
우선주와 보통주 간의 괴리율이 큰 기업일수록 배당 유인책의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이므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키움증권의 한지영 연구원은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지만 배당 우선권이 주어지고, 대선을 앞두고 이러한 주제의 관심이 커졌다"며 배당소득세 완화가 우선주의 수혜로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치권에서는 국회의 배당소득 분리 과세 법안 발의와 함께, 대선 후보들이 주식 시장 활성화 방안으로 배당 성향 확대를 언급하고 있다. 최근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배당성향이 35% 이상인 상장 법인의 배당소득에 대해 별도 세율을 적용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대주주의 배당 혜택을 높이고, 개인 투자자의 세금 부담을 줄여 장기적인 배당 투자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도 과거에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에는 배당소득세를 낮추고 낮은 기업에는 불이익을 주는 방법으로 주식을 부동산의 대체 투자 수단으로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두산 우선주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정치적인 테마주로 인식되는 경향이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있다. 두산그룹이 이재명 후보와의 연결성으로 인해 두산 우선주에 대한 투기성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치권의 배당 확대 움직임 및 높은 괴리율이 주가 급등에 영향을 미쳤다"고 귀띔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