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사태 검찰 이첩 준비 중


금융당국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에 대한 조사의 최종 결과를 빠르게 검찰에 이첩할 예정인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강등되는 시점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며, 이를 사기적 부정거래로 간주하고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MBK·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통상적인 증권선물위원회 안건 상정은 어려울 것이나, 신속한 절차를 따르겠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회계 부문 부원장인 함용일은 기자회견에서 "홈플러스가 신용평가 하방 위험을 인지한 시점과 회생 신청 계획의 수립 날짜 등이 핵심 쟁점"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에 따르면, 신용등급 하락 발표 이전에 홈플러스가 등급 하락을 미리 인지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전해졌다.
이와 관련하여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채권을 발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휘말리고 있다. 그러나 MBK파트너스 및 홈플러스 측은 신용등급 하락이 결정된 후에야 회생 신청 계획을 수립했다고 반박했다. 이 사건의 배경에는 홈플러스의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한 신영증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이 홈플러스 및 경영진을 사기 및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로 고소한 사실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서울중앙지검이 이 사건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한편,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3일 기준으로 홈플러스의 단기채권 판매 잔액은 5949억원에 달하며, 이 중 2075억원이 개인투자자에게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당국의 조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상황을 상기시킨다.
각종 금융사고가 빈발하는 상황에서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사태는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속한 수사 결과와 함께 후속 조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