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 전망, 성장률 0.8%로 대폭 하향조정…미국 관세의 영향"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25년 상반기 경제 전망을 발표하며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1.6%에서 0.8%로 대폭 하향조정했다. 이는 한국은행과 정부를 포함한 각종 국내외 기관들이 제시한 전망치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로, 안타깝게도 한국 경제가 첫 0%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번 하향 조정의 주 원인은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인한 글로벌 교역 위축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이러한 하향 조정의 배경을 설명하며, 외부 요인으로 인한 충격이 성장률을 약 0.5%포인트 낮추었고, 내부적인 정국 불안 및 건설업 공사 지연이 0.3%포인트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이러한 요소들이 한국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세 둔화에 기여하고 있다.
올해 총수출 증가율은 작년 7.0%에서 0.3%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품 수출 또한 0.4%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총수입은 0.8% 증가하겠지만,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 990억 달러에서 920억 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내수 경기 역시 빠르게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숙박·음식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민간 소비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기업의 투자심리 또한 악화되고 있다. KDI는 올해 건설투자가 전년 대비 4.2%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불황이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의 추가적인 하방 압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KDI는 “미국이 높은 관세율을 지속하는 가운데 상대국들이 보복관세로 대응하게 되면 통상분쟁이 심화될 것이며, 이는 한국 경제 성장에 추가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과 심각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요소이며, 앞으로의 경제 정책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와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