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입을 빚 상환에 쏟아붓는 157만명…생계비도 남기지 못하는 가구도 275만명에 달해


국내에서 채무 상환으로 인해 수입의 전부를 사용하는 사람이 무려 157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중 275만 명은 빚을 갚고 나면 최소한의 생계비조차 남지 않는 ‘한계 가구주’에 해당한다. 이는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드러났다.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국내 가계대출자는 약 1972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7.9%인 약 156만 명이 ‘회생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고금리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가계의 부담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리 인하와 같은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1859조 3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중채무자의 수 또한 증가 추세에 있다. 올해 2분기 기준으로 다중채무자는 452만 명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4만 명이 증가한 수치이다. 이들 중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70% 이상인 차주는 117만 명으로, 다중채무자의 약 25.9%를 차지한다. 특히, 소득 하위 30%에 해당하는 저소득 및 저신용 상태에 놓인 취약 차주 역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올해 2분기 말에 약 129만 명에 달한다. 이러한 취약 차주들 중에서도 DSR 70% 이상인 비율이 36%인 47만 명에 달한다.
가계대출의 연체율에 관한 통계도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올해 2분기 기준으로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36%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다. 비은행 가계대출 연체율 역시 같은 기준으로 2.12%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와 금융당국에게 가계의 재정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새로운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계들은 금융 부담에 시달리고 있는 국민들의 실상을 보여주며, 대출 증가에 따른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많은 사람이 기본 생계비에 메일리지 못하고 빚 상환에 고통받고 있는 현실에서, 정책적 노력과 금리 조정이 이들을 구제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