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업종에서 대규모 일자리 감소…8만 개 일자리 사라졌다


올 상반기 한국의 건설 업종에서 무려 8만 개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3년간 공사비가 약 30% 상승함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되거나 착공이 지연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특히, 건설 현장에 인력을 공급하는 부문에서도 4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26만 1000명 증가했으나, 건설업에 종사하는 취업자는 62만 명에서 54만 1000명으로 급감하며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주었다.
건설 업종의 취업자 수 감소는 주로 50대 남성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들 중 3만 9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50대 남성의 취업자 수가 크게 줄어든 것은 일용직 근로자 비율이 높은 건설업의 특성과 연결된다. 산업통계 조사를 통해 확인된 결과, 50세 이상에서 3만 9000명, 30대와 40대에서 각각 3만 3000명과 6만 8000명이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 관계자에 따르면 건설업의 일자리 구조가 흔들리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내수 경기가 여전히 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100만 원에서 300만 원의 월급을 받는 임금 근로자들이 모인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부문에서 총 24만 개의 일자리도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소매업 종사자 수가 7만 5000명 감소한 것을 비롯해, 장기적인 내수 위축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높은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자리 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졌다. 건설업에서는 400만 원 이하로 일하는 취업자는 감소한 반면, 400만 원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인원은 5만 7000명이 증가하며 고액 근로자 비중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긴급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차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민관 합동 조정위원회를 가동하고, 올해 안에 최대 62개의 프로젝트에 대해 20조 6000억 원 규모의 조정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는 내수 활성화를 목표로 한 대책의 일환으로, 건설업의 취업자 수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착공 물량을 지난해 1만 1000가구에서 5만 가구로 확대할 계획을 밝혀, 건설업의 일자리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현재 건설업 전체의 일자리 감소는 구조적인 문제 외에도 내수 부진, 높은 공사비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임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대책들이 효과를 발휘하여 다시 안정된 고용 환경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