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의 영향 제한적... 전문가들 "미국 정부의 대응에 주목해야"

홈 > NFT & 코인 > 실시간 뉴스
실시간 뉴스

한국 증시의 영향 제한적... 전문가들 "미국 정부의 대응에 주목해야"

코인개미 0 131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최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에 이어 무디스까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한국 증시에 미칠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신용등급 하락이 부정적임은 분명하지만, 이는 예고된 사건으로 단기적인 영향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핵심은 미국 정부의 향후 대응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방향성이 더욱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점이다.

신용등급 하락만으로는 과거의 큰 충격을 재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피치가 국가신용등급을 조정한 후인 2023년 8월 2일, 코스피는 1.9% 하락하며 2616.47에 마감했고, 같은 날 코스닥은 3.18%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2011년 8월 2일 S&P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을 당시 코스피는 3.82% 하락했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에는 상대적으로 덜 심각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이번 신용등급 하락이 '예고된 강등'이라는 성격이 강하다는 점이 미치는 결과로 분석된다. 현재 밸류에이션이 낮아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는 판단이 그 바탕에 있다. 2011년 유럽 재정위기 당시, S&P는 미국의 부채 한도 증액 협상 타결에도 불구하고 신용등급과 전망을 동시에 하향 조정했으나, 2023년에는 피치가 신용등급 조정을 하기 2개월 전에 먼저 전망을 조정하면서 시장에 미친 충격이 줄어들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이번에는 무디스가 1년 6개월 만에 '예고성 강등'을 실행했으며, 관세와 관련된 불확실성도 완화된 상황이다. 그는 2011년과 2023년에는 코스피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에서 0.9배 중후반에 머물렀지만, 현재는 0.8배까지 내려와 밸류에이션 부담이 덜하다고 분석했다.

그와 더불어, 증권가에서는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와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신용등급 조정보다도 실제 경제 펀더멘털과 각국의 정책 방향이 시장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며 "미국의 지속적인 재정 적자와 이자 비용 증가 우려는 이미 시장에서 반영된 리스크"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현재 한국 증시는 비교적 영향을 덜 받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미국의 재정 및 정책 방향에 대한 지속적인 주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향후 미국 정부의 대응이 금융 시장의 주요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