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환경 자회사 매각 추진…우선협상대상자 7월 중 선정 예정


SK에코플랜트는 환경 자회사인 리뉴원과 리뉴어스 매각을 예정대로 진행하고 있으며, 우선협상대상자는 오는 7월 중에 선정될 예정이다. 현재 매각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KKR과 스틱인베스트먼트는 매각측의 가격 제안에 거의 근접한 금액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환경 자회사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에 참여한 KKR과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최근 매각측과 조율 중에 있으며, 가격 범위로 1조5000억원에서 2조원 사이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투자자는 현재 가상데이터룸(VDR) 및 질의응답(Q&A) 방식으로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6월 중에 이번 매각과 관련된 가격 제안을 한 차례 받은 후, 이르면 6월 하순 또는 늦어도 7월 중에는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매각이 초기 예상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당초 인수 후보들이 제시한 가격이 매각측의 희망가에 미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긍정적인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리뉴원 지분 100%와 리뉴어스 지분 75%를 매각할 계획이며, 매각으로 인한 자금은 약 2조원 규모, 즉 투자 원금 수준에서 양 회사의 경영권을 매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격 제안에 있어서는 KKR이 스틱인베스트먼트보다 다소 높은 금액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KKR은 이번 거래 외에도 다른 대형 거래에 대한 투자 검토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이 부분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SK에코플랜트가 환경 자회사 매각을 통해 5조원에 달하는 순차입금 중 상당수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SK에코플랜트는 최근 SK머티리얼즈 산하의 반도체 소재 기업 4곳을 자회사로 새롭게 편입했다. 이들 자회사는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소재를 생산하며, 지난해 합산 매출은 약 3500억원에 달한다. SK에코플랜트가 환경 자회사를 매각하고 반도체 사업을 강화하려는 이유는 내년 중 반드시 상장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1조원 규모의 프리IPO 투자 유치 당시 투자자들에게 2026년까지 상장을 약속한 바 있다.
이러한 매각과 재무구조 개선이 SK에코플랜트의 2024년 상장 성공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으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