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글로벌 무역 결정이 애플과 엔비디아에 미치는 영향 분석


CNBC의 짐 크래머는 금요일 방송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 결정이 미국의 주요 기술 기업인 엔비디아와 애플에 심각한 제한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트럼프의 결정이 시장 전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임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래머는 "우리는 트럼프의 개입을 수용해야 하며, 이는 주식 보유의 위험 요소로 추가되어야 한다. 트럼프와 그의 측근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업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첨단 기술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인공지능 칩 수출에 대한 규제를 도입했으며, 이로 인해 엔비디아는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엔비디아의 CEO인 젠슨 황은 이러한 규제가 "실패"로 돌아가고 있으며, 미국에 더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황에 따르면, 이러한 규제는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을 95%에서 50%로 떨어뜨렸고, 중국이 자체 반도체 생산을 가속화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크래머는 중국이 엔비디아의 첨단 칩에 의존하는 것이 훨씬 더 안전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트럼프는 애플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강력한 세금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애플이 중국에서 제조를 인도 쪽으로 이전하려는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은 국외에서 제조된 아이폰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크래머는 이러한 정부의 조치에 반대하며, 미국에서 생산된 아이폰이 소비자에게 너무 비쌀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애플이 이미 미국 내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크래머는 역사적으로 정부가 대기업에 강하게 개입한 사례들을 언급했다. 예를 들어,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1964년 국가적인 파업이 경제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철도 산업을 통제한 바 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또한 1962년에 경제적 불안정 시기에 철강 기업들의 가격 인상에 대해 비판하고 이를 되돌리도록 압박했다. 그러나 크래머는 현재 트럼프가 기업에 대해 단순히 "어떻게 할지를 지시하고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통령이 경영진의 비즈니스 결정에 대해 의결권을 넘어서 주도하는 형국이며, 이는 사실상 명령 경제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진단했다.
결국, 이러한 정치적 개입이 기술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이며, 시장의 투자자들은 이런 환경 속에서 점점 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크래머는 현재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이 자신들의 포트폴리오의 위험 요소를 신중하게 평가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