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7개월 만에 최저치 기록…달러 대비 2위 상승세


원-달러 환율이 지난주 1360원대로 하락하면서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갱신했다. 이는 한·미 간 환율 협상 가능성과 미국의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등 여러 요인들이 작용해 달러 약세가 유발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23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1366.5원으로 종료되었으며, 이는 작년 10월 16일의 1364.5원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 1주일 동안 원화는 달러에 대해 2.45% 상승하며, 유로화, 엔화, 위안화 등 주요 통화 대비 두 번째로 강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강달러 정책을 지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원화 절상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통화 절상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시장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환율 하락 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이낙원 NH농협은행 위원은 “단기적으로 환율이 1340원 선까지 하향 조정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며, “1370원대가 하단으로 생각되지만 시장에서는 더 낮은 수준에 대한 기대가 존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환율 협상이 시장에서 변동성을 초래하고 있다”며 “향후 6월 G7 정상회담, 7월 관세 유예 종료, 미국 부채한도 협상 등 다양한 외부 변수가 환율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형중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중심으로 ±50원 구간 내에서 높은 변동성을 지속할 것”이라며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최근의 환율 변동은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수출기업들은 달러 약세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줄어들 수 있으며, 수입 의존도가 높은 업종은 오히려 혜택을 볼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제적 상황들을 감안할 때, 향후 환율 정책과 외부 요인들의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