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관광객 증가에도 부동산 시장은 침체...리테일 자산 투자 sluggish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서울의 주요 상권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그러나 리테일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은행(IB) 업계의 보도에 따르면, 이지스자산운용이 진행한 타임워크 명동의 입찰에서 원매자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명동 상권을 되살렸음에도 불구하고, 리테일 자산에 대한 투자 선호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시사한다.
CBRE코리아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오피스와 물류센터의 총 거래액은 조 단위로 집계된 반면, 리테일 부동산 거래액은 2345억원에 그쳤다. 이러한 현실은 리테일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로 중소형 자산에 대한 투자 활동이 집중되고 있으며, 대형 자산에 대한 매수 의향은 미미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타임워크 명동은 서울 중구 명동1가 59-5 일대에 위치해 있으며, 이지스자산운용이 2019년에 SK명동빌딩을 매입한 후 리테일, 호텔, 오피스 복합시설로 재구성하였다. 해당 건물은 지하 1층에서 지상 3층까지는 리테일, 3층에서 9층은 오피스, 10층에서 18층은 이비스 앰배서더 명동 호텔로 구성되어 있다. 당초 이 자산의 매각가는 5000억에서 6000억원 수준으로 기대되었으나, 이지스자산운용은 시장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자 올해 한 차례 매각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펀드 만기를 연장하기로 결정하였다.
리테일 시장의 이러한 침체는 외국인의 유입 증가로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분야에서의 투자 심리가 억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향후 리테일 부동산 거래 시 더욱 방어적인 투자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만약 내년까지 타임워크 명동의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또 한 차례 펀드 만기가 연장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결국,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리테일 시장 내 대형 자산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인 회복에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변화 속에서도 기업들은 보다 혁신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통해 시장의 변화를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