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해외 진출 확대와 함께 계속되는 인기"


최근 K뷰티의 인기가 치솟으면서, 관련 화장품 주가가 동반 상승하고 있으며 인수합병(M&A) 시장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미국 내 관세 인상 우려에도 불구하고, 높은 소비자 로열티 덕분에 K뷰티 제품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브랜드 대형주 및 ODM(제조 및 개발) 업체뿐만 아니라 판매 플랫폼 등 전체 밸류체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지난 한 달 간 15.65% 상승하여 12만5600원에 거래를 마감했고, ODM 업계 대표 기업 한국콜마 역시 12.6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역직구 플랫폼 실리콘투는 무려 29.7% 상승했다. 4월 화장품 수출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18.4% 증가했고, 북미 수출은 지난달 대비 18.7%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성장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올해 1분기 중국 법인이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미국 시장에서도 지난해보다 30% 성장한 평가를 받고 있다.
K뷰티 제품의 글로벌 확장성이 입증됨에 따라, 화장품 ODM 분야는 사모펀드의 인수 관심을 받고 있다. 화장품 브랜드는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로 리스크가 크지만, 화장품 ODM 분야는 생산 기반의 사업이기 때문에 K뷰티의 성장과 함께 안정적인 실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ODM 업계 대표주자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는 지난해 각각 2조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 웰투시인베스트먼트라는 국내 사모펀드는 ODM 7위 업체인 엔코스의 경영권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이다. 엔코스의 기업 가치는 약 2000억원대 중반으로 추정되며, 인수 논의는 상당히 진척된 상황이다. 또한, ODM 4위 업체인 씨앤씨인터내셔널에 대한 관심도 높은 편인데, 대주주가 매각 의사를 명확히 하지 않아 실제 매각 성사 여부는 미지수다. IB업계는 적정 가격에 대한 인수 측과 대주주 간 시각 차이가 커, 매각이 진행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유명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인수 사례도 있다. 케이엘앤파트너스라는 사모펀드는 자연주의 기능성 화장품 브랜드인 마녀공장 경영권 지분 51.9%를 1900억원에 인수했다. 또한, '독도토너'로 잘 알려진 서린컴퍼니도 구다이 글로벌 및 컴퍼니케이 컨소시엄과 협상 중이며, 약 5000억원에 인수할 계획이다.
IB업계 관계자는 "K뷰티가 ODM부터 유명 브랜드까지 인수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라며 "K뷰티는 과거 중국 시장에 의존하던 모습을 탈피하고, 앞으로는 미국과 유럽 등 다양한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 관련 업체들이 M&A 시장에서 지속적인 주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