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인기로 ODM 기업들에 대한 인수 희망 커져


K뷰티의 인기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화장품 주식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수 합병(M&A)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 로열티가 강한 덕분에 미국의 관세 인상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화장품 브랜드 대형주와 연구개발생산(ODM) 업체, 판매 플랫폼 등 관련 산업 밸류체인이 함께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아모레퍼시픽은 최근 한 달간 주가가 15.65% 상승하며 12만560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와 함께 대표적인 ODM 업체인 한국콜마도 12.67%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하였고, 역직구 플랫폼 실리콘투는 무려 29.7% 상승하는 성과를 보여줬다. 이처럼 화장품 업계의 성장세는 상당하며, 4월 수출 데이터만 봐도, 화장품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하였고, 특히 북미 수출은 18.7%의 성장을 기록했다. 이러한 북미 수출의 상승 추세는 유럽과 중동 지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1분기 아모레퍼시픽의 중국 법인은 긍정적인 실적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하였고, 미국 시장에서도 지난해 대비 30% 성장하는 등 해외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K뷰티의 글로벌 발전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화장품 ODM 분야에서도 사모펀드의 인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화장품 브랜드는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민감해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ODM은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해 코스맥스와 한국콜마는 각각 2조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이 같은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현재 국내 사모펀드 웰투시인베스트먼트는 ODM 업계 7위 업체인 엔코스의 경영권 지분 인수를 추진하고 있으며, 엔코스의 기업 가치는 2000억원대 중반으로 추정된다. 이 거래는 이미 상당 부분 진척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ODM 4위 업체인 씨앤씨인터내셔널에 대한 인수 움직임도 존재하나, 대주주가 매각 의사가 크지 않아 실제 인수가 진행될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투자은행 업계에서는 적정 가격을 두고 양측 시각 차이가 커서, 매각이 성사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뷰티의 힘이 ODM 기업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