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우려에도 흔들리지 않는 크루즈 산업, 로얄캐리비안의 연간 예약률 86%


미국의 소비 둔화 우려 속에서도 크루즈 산업은 강력한 수요를 지속하고 있으며, 가장 큰 크루즈 운영사 중 하나인 로얄캐리비안크루즈(RCL)는 1분기 실적에서 놀라운 결과를 기록했다. 현재 연간 예약률이 8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요즘에도 경제적 여유가 있는 소비자들이 크루즈 여행을 선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금융투자업계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로얄캐리비안크루즈의 주가는 지난 한 달 동안 29.24% 상승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부과한 상호관세 이후 내렸던 주가가 거의 연초 수준으로 회복한 결과로 해석된다. 1월 말 주가 고점 대비 16% 하락에도 불구하고 현재 주가는 약 23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1분기 실적은 시장의 기대치를 웃돌았으며, 순이익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여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2.71달러로 예상치인 2.55달러를 초과했다. 매출은 39억9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지만, 시장 예측인 40억1000만 달러에는 소폭 미치지 못했다. 특히, 연간 예약 프로모션이 진행되는 1분기 초에 예약률이 109%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실제 탑승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220만 명에 달했다.
고객 충성도 지표인 NPS(Net Promoter Score)도 70을 넘길 정도로 높아지며, 반복 예약률이 증가한 상황이다. 로얄캐리비안의 제이슨 리버티 CEO는 “이번 실적은 불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도 크루즈 여행의 지속적인 매력과 가격 대비 높은 만족도를 반영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에만 주가가 60% 상승했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수요에 힘입어 영업 이익도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영업 이익이 20억6800만 달러였던 반면, 지난해에는 41억 달러를 넘어서며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키움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로얄캐리비안의 올해 예상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9.3% 증가한 약 1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올해 전 세계 해양 크루즈 탑승 승객 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4.9% 증가한 3370만 명 정도로 예상된다. 미국 내에서도 소비가 줄어들고 있지만, 럭셔리 경험에 대한 선호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로이터는 미국인들이 최근 물건 구매를 줄이면서도 좋은 경험과 서비스에 대한 지출은 오히려 늘어났다고 보도하였으며, 저렴한 크루즈 여행 예약률이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언급했다.
현재 크루즈 산업은 카니발코퍼레이션이 41.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로얄캐리비안크루즈는 27%, 노르웨이지안크루즈는 9.4%를 보유하고 있다. 다가오는 시기에도 로얄캐리비안과 같은 크루즈 기업들이 경기침체 우려와 상관없이 성장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