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만의 월드코인, 인도네시아에서 중단 - 눈 스캔이 당신의 데이터를 훔칠까?


월드코인이 인도네시아에서 또 다른 장벽에 부딪혔다. 샘 올트만의 월드코인은 사용자 데이터 수집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인도네시아 당국에 의해 공식적으로 중단됐다. 이 결정은 월드코인이 글로벌 규제당국과의 마찰 속에서 맞닥뜨린 최신 사태로, 향후에도 중요한 질문을 불러일으킨다. 이번 중단의 배경은 무엇인지, 그리고 미국에서의 성장 가능성은 어떻게 될지 살펴보자.
인도네시아의 통신정보부는 5월 4일, 월드코인 플랫폼에서 발생한 공공 불만과 의심스러운 행동을 이유로 이 조치를 발표했다. 디지털 공간 감독을 담당하는 알렉산더 사바르 국장은 이를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예방 조치"라고 강조했다. 통신정보부는 월드코인의 지역 파트너인 PT 테랑 불란 아바디 및 PT 산디나 아바디 누산타라에 대한 추가 조사를 예고했다. 이와 함께 사바르 국장은 "공공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повтор했다.
이번 중단은 월드코인의 눈 스캔 기술에 대해 저항하는 국가 목록에 인도네시아를 추가하며, 2023년 런칭 이후 케냐, 홍콩, 포르투갈, 스페인 등에서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거나 차단된 사례와 유사하다. 이러한 상황은 월드코인의 안전성에 대해 의문을 자아내게 한다.
월드코인은 인터넷 속의 봇들 가운데 자신의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을 스캔하라는 독특한 제안을 하고 있다. 이 아이디어는 마치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발상으로, 올트만은 이를 AI 시대에서 생존하기 위한 열쇠로 보고 있다. 각각의 스캔은 고유한 "월드 ID"를 생성하여 사용자들이 월드코인의 암호화 생태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월드코인은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완전히 익명화했다고 주장하지만,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이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내고 있다.
한편 올트만은 여전히 자신의 비전을 굽히지 않고 있다. 그리고 최근 친(親) 암호화폐 정책을 펼친 트럼프 행정부 덕분에 월드코인은 마침내 미국 시장에 진입하게 되었다. 올트만은 미국을 월드코인의 주요 초점으로 설정하고, 전국적으로 10,000개의 스캔 장치를 배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텍사스에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공장도 구축 중이다.
스캔을 통해 인간임을 증명하는 미래를 향한 월드코인의 대규모 베팅은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가 최근 중단 조치를 취함에 따라 올트만의 비전이 혁신과 개인정보 보호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을지가 긴급한 과제가 되었다. 만약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더 많은 국가가 월드코인의 진출을 차단할 가능성도 커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