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로 신재생 ETF가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 주목받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0.50%포인트 금리인하가 단행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추세다.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특히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는 초기 자금 조달 비용이 크기 때문에 금리가 하락할 경우 자금 조달이 용이해지고, 이는 사업 운영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최근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민주당의 대선 후보로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은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더 많은 지원을 약속하고 있어 신재생 주식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리스 후보의 선전은 민주당의 재집권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하여 신재생 에너지 주식의 전망을 더욱 긍정적으로 만들어준다.
22일 한국거래소의 자료에 따르면, ‘TIGER Fn신재생에너지’ ETF는 지난 9일부터 현재까지 무려 15.52% 상승하였다. 이 ETF는 씨에스윈드, HD현대일렉트릭, 두산에너빌리티와 같은 한국의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비슷한 구성 종목을 가진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와 ‘TIMEFOLIO K신재생에너지액티브’ 역시 각각 10.10%와 8.13%의 상승률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는 주로 주요 구성 종목인 씨에스윈드가 이 기간 동안 20.91% 상승하고, 두산퓨얼셀이 10.22%의 상승률을 기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금리에 민감하다는 점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금리인하에 따른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해상풍력, 육상풍력, 태양광의 순으로 금리 혜택이 크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신재생 에너지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분석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뉴욕타임스(NYT)와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 시에나대학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해리스 후보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각각 47%로 동률을 이루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조사의 결과 응답자의 67%는 해리스 부통령의 TV 토론 퍼포먼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러한 여론은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예고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신재생 ETF의 상승세는 금리인하와 함께 민주당의 정책 방향성에 의해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의 투자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