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유상 증자에 따른 주가 희석 우려로 목표가 하향 조정


하나증권은 14일 포스코퓨처엠의 목표주가를 기존 14만7000원에서 12만4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유상 증자로 인한 발행주식수 증가로 인한 주가 희석 우려를 반영한 조치이다. 그러나 회사의 기업가치 달성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고 평가하며,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은 최근 유럽 및 미국의 소재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약 1조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공시했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총 1148만주의 신주가 발행되며, 모집 가액은 주당 9만5800원이다. 자금은 양극재의 광물 적격 요건 충족을 위한 전구체 공장 운영에 2884억원, 캐나다 양극재 시설 투자에 3534억원, 그리고 국내 흑연 시설 투자에 2773억원이 사용될 예정이다.
하나증권은 이번 유상증자가 두 가지 중요한 함의를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첫째, “마지막 대규모 증설”이라는 시사의 변화이다. 과거 포스코퓨처엠은 지나치게 공격적인 선제 투자 계획을 제시했지만, 최근 회사의 발언에서는 시설 투자를 시장 수요가 확인될 때에 집행하겠다는 전략적 변화가 엿보인다는 분석이다.
둘째, 유휴생산능력(CAPA) 가동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점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증설을 통해 30.5만톤(t)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되며, 이를 통해 2020년대 후반까지 예상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하나증권은 2030년까지 북미 및 유럽에서의 양극재 수요가 각각 133만t과 73만t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재 확보한 생산능력이 적정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양극재 영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광물 조달처임이 강조되었다. 미국과 유럽의 전기차 OEM들은 배터리 및 양극재 기업들에게 광물 적격 요건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이번 증자를 통해 전구체의 한국 공장 운영을 원활하게 하고, 2027년부터 미국 시장에서 대중국 관세가 부과되는 음극재 증설 자금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향후 유휴CAPA 가동률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실적 성장 가시성을 확보했다”며, “한중일 양극재 기업들 중에서도 미국과 유럽이 요구하는 광물 적격 요건 경쟁에서 가장 앞서 나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회사의 기업가치는 11조원에서 12조원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