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4월 외국인 투자 기록 경신…미국 시장에서 탈출한 투자자들


일본 시장은 2025년 4월, 외국인 투자자들의 전례 없는 주식 및 장기 채권 구매를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해외 투자자들은 8.21조 엔(약 566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일본 자산에 투입하였으며, 이는 일본 재무성이 1996년부터 수집한 데이터 중 가장 큰 수치로 평가된다. 이러한 현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 변화와 관련이 깊다.
특히, 국제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 발표 이후 미국 시장에서 탈출하는 대신 일본과 같은 다른 주요 시장으로 다각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노무라의 외환 전략 부서 책임자 유지로 고토는 "트럼프의 관세 조치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미국 경제에 대한 전망을 바꾸었고, 이는 일본과 같은 다른 시장으로의 자금 분산을 촉발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되며, 이러한 인식은 빠르게 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더욱 강화됐다. 특히, 4월 전반기에 많은 자금이 유입되었고, 주식과 채권 모두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일본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같은 기간 21 베이시스 포인트 하락한 반면, 미국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30 베이시스 포인트 상승하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일본 시장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미국이 무역 정책을 완화하고 여러 국가와의 협정을 체결함에 따라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이렇게 된 상황은 일본 자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전문가들은 일본의 외국인 자산 유입이 저조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지만, 여전히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알 다비 캐피탈의 래쉬미 가르그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이 진전을 보이는 가운데 일본으로의 유입이 줄어들 가능성은 있지만, 일본 자산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건전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일본의 증시는 도쿄 증권거래소(TSE)에서 진행 중인 기업 거버넌스 개선 조치로도 혜택을 보고 있다. 이는 주주 이익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개편되고 있으며,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일본 기업의 매력을 크게 높이고 있다. 특히 TSE의 개혁 프로그램은 주가가 회계장부 대비 비율 1 미만으로 거래되는 상장 기업들에게 '준수 또는 설명'을 요구하며, 이는 일본 회사의 주식 매입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네우버거 버먼의 오카무라 전무는 "일본 경제의 회복세와 함께 일본 주식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할 것"이라고 전하며, 일본 시장에 대한 외국인 자금 유입이 향후에도 안정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일본 자산은 과거 10년 이상에 걸쳐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의 기업 거버넌스 개선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