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좀비' 상장사 증가...이유와 은행권 신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

홈 > NFT & 코인 > 실시간 뉴스
실시간 뉴스

역대 최대 '좀비' 상장사 증가...이유와 은행권 신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

코인개미 0 160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최근 한국 상장사들이 경영 한계 상태에 빠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한계 상태에 있는 상장사가 541곳으로 1년 사이에 61곳이 늘어났으며, 이는 12.7% 증가에 해당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상장사는 일정한 재무 검증을 통해 증시에 입성하는 만큼,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 건전성 및 경영 안정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현재 경제 불안정성과 경기 침체가 심화됨에 따라, 상장사 중에서도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납부하지 못하는 이른바 '좀비 기업'이 급증한 상황이다. 현재 한계 상태에 빠진 상장사는 전체의 10곳 중 2곳에 해당하며, 이는 22.6%에 달한다. 이러한 비율은 1999년의 외환위기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문제는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시중은행들은 이러한 동향을 고려하여 신용등급을 재평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악화된 기업 실적이 은행권에 즉각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보통 은행은 외부 감사 대상 기업의 결산 이후에서 5~6개월 안에 신용평가를 조정하고, 이를 통해 대출 규모와 금리를 조정한다. 이는 더욱 공격적인 대출 관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은행권은 경기 충격을 직접적으로 받는 고위험 산업군을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대출을 더욱 엄격히 조이면서 기업의 건전성을 확보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신용등급이 하락하게 되면 기업이 은행에서 받을 수 있는 금리가 상승하고, 대출 규모도 축소되어 자금 경색 현상이 우려된다.

더불어, 자영업자 부채도 급증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3개 금융기관에서 이상 빚을 지고 있는 다중채무 자영업자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749조6000억원에 달했고, 이는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다. 특히 세종, 경북, 경남 등의 지역에서 부채 증가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더욱 우려스럽다.

법원에 접수된 개인회생 건수가 역대 최대치에 도달함에 따라, 기업과 자영업자의 재무 부실이 장기화될 경우 전반적인 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도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러한 기업과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과 구조조정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최재원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사모펀드나 대기업이 한계기업을 인수하거나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