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이 주시하는 PCE도 급등 전망, 긴축 강화 더욱 압박할 듯
연준이 가장 주시하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도 시장의 예상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여 연준의 긴축 강화를 더욱 압박한 전망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는 24일 발표되는 1월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5% 상승해 2022년 중순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12월 상승폭인 0.1%에서 크게 높아진 수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도 전월 대비 0.4%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동안 내렸던 PCE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는 것이다.
앞서 중요한 물가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도 모두 시장의 예상을 상회, 연준의 추가 긴축 압박을 가중시켰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6일 지난달 PPI가 전월 대비 0.7%, 전년 대비 6.0% 각각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블룸버그의 예상치 전월 비 0.4%, 전년 비 5.4%를 모두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앞서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시장의 예상을 상회했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4일 지난달 CPI가 전월 대비 0.5%, 전년 대비 6.4%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다우존스는 전월 비 0.4%, 전년 비 6.2%를 각각 예상했었다.
이에 따라 연준의 간부들도 잇달아 긴축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다음 공개시장위원회회의(FOMC)에서 0.5%포인트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발언했다.
그는 "금리인상 폭이 항상 0.25%포인트가 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며 “우리가 이미 보여준 것처럼 필요할 때 우리는 더 빨리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장도 연준이 금리인상을 강화할 것에 베팅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연방기금금리(미국의 기준금리) 선물은 7월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5.3%까지 오를 것이라고 보고 있다. 불과 2주 전만 해도 4.9%에 머물렀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639743?sid=101